Ich Liebe Dich 그대를 사랑해
악곡 해설
무명시인 카를 프리드리히 헤로세(Karl Friedrich Herrosee : 1754~1821)의 시
《부드러운 사랑》에 1797년(1795년이라는 설도 있음) 베토벤이 곡을 붙여
1803년 출판하였다. 베토벤의 자필악보나 초판악보에는《부드러운 사랑》의
2절부터 가사가 시작되어 2절 가사 첫 부분의〈그대를 사랑해〉가 곡의 제목이 되었다.
단순 소박한 선율에 괴로움을 나누는 두 사람의 사랑이 부드러운 서정으로 녹아 있다.
〈사랑이여 우리들은 아침에도 저녁에도 서로서로 근심 걱정 나누며 살아왔네...〉로
시작되며, 안단테 F장조(원조는 G장조)에 4분의 2박자 곡으로 A+B+A'+C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베토벤의 편지 '불멸의 연인'
"나의 천사, 나의 모든 것, 나의 사랑, 그대 또한 나를 사랑하는 것처럼 [...]
침대에서 이미 그대에 대한 생각이 밀려오네,
나의 불멸의 연인이여, 여기 저기 기쁨이 있어, 그러다가 다시 슬픔이,
운명을 기다려, 그것이 우리를 허락할지.
-그대와 함께 삶을 살든지 아니면 전혀 살 수 없어, 그래, 나는 결정했어,
먼 곳에서 길을 잃고 이리저리 헤매기로,
내가 그대의 품안으로 날아갈 수 있고 그리고 그대 곁에서
나를 아주 편안하게 머물게 할 수 있을 때까지, 나의 영혼을,
그대에게 둘러싸여, 정신의 세계로 보낼 수 있을 때까지." |
|
이 편지는 1812년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데 그 대상을 정확히 알 수 없다
. 베토벤이 피아노를 가르쳤던 브룬스빅 가문의 두 자매 중 동생인
요세피네(Josephine von Brunsvik)와 귀족 부인 안토니(Antonie von Brentano)가
줄곧 거론되는데 최근에는 후자에 더 무게를 둔다.
왜 이 편지가 베토벤이 죽은 후에 그의 집에서 발견되었는지에
대한 의문도 많다. 편지의 주인공으로부터 수신이 거절되었거나,
아니면 베토벤이 이 편지를 원래 상대에게 전달할 생각을 하지
않았을 수 있다. 이 이야기를 가지고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Immortal Beloved, 1994년 미국에서 제작), 최근의 학문적
검증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Fritz Wunderlich 프리츠 분델리히 테너
호세 카레라스 <그대를 사랑해>
신승훈 - 보이지 않는 사랑
신승훈에게 발라드의 황제라는 수식어를 붙여준 노래입니다.
이 곡의 도입부에 베토벤의 <그대를 사랑해>가 삽입되었습니다.
발매 직후 파죽지세로 인기를 얻어며 가요순위 프로그램에서
'14주 연속 1위'라는 대기록을 세웠고, 당시 한국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고 합니다.
Ich liebe dich, so wie du mich, am Abend und am Morgen, noch war kein Tag, wo du und ich nicht teilten unsre Sorgen.
Auch waren sie fur dich und mich geteilt leicht zu ertragen; du trostetest im Kummer mich, ich weint in deine Klagen.
Drum Gottes Segen uber dir, du, meines Lebens Freude. Gott schutze dich, erhalt dich mir, schutz und erhalt uns beide.
Gott schutze dich, erhalt dich mir, schutz und erhalt uns beide.
Erhalt', erhalt' uns beide erhalt uns beide. | |
난 널 사랑해, 네가 날 사랑하듯이
저녁에도 아침에도
너와 내가 우리의 근심거리들을
함께 나누지 않은 날은 없었지
그리고 그것들은 너와 내가 감당하기 좋게
항상 나누어졌지
너는 내가 걱정할 때에 나를 위로해주고
네가 슬플때 네가 슬플때 나는 울었지
하느님의 축복이 너의 위에 있기를
너 나의 삶의 기쁨이여
하느님, 그를 보호하시고, 그가 늘 내게 있도록
하여 주소서
하느님, 그를 보호하시고, 그가 늘 내게 있도록 하여 주소서, 우리 둘 모두를 보호해 주시고 늘 함께 하도록 하여 주소서. 우리 둘을 항상 함께, 함께하게
하여 주소서, 우리 둘을 함께 하게하여 주소서
| | |
|